Archive.
【韓探】 데이터로 보는 20대 대선후보 2차 다자토론 승자는? (네이버/구글/카카오 데이터) 본문
승자가 누구냐? 전문가들의 뇌피셜이 넘쳐난다.
정치인들의 아전인수격 레토릭과 선동이 넘친다.
받아쓰기식 기사가 재생산되고 유권자 전체 인식의 지형을 왜곡하려는 시도가 계속된다.
이런 인포데믹이 퍼지기 이전에
그 날의 그 시간대의 '유권자의 목소리'를 담은 데이터를 분석할 필요가 있는 이유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관심도는 투표(행동의도)와 정비례하는 경향이 있고, 호감도가 그 조절변수가 된다.
관심도와 함께 호감도(소셜 센티먼트)를 분석한 포지셔닝 맵은 다음 글에서 바로 다루기로.
실제 투표 행동으로까지 이어지기에 여론조사 공표로 인한
양자구도 밴드왜건 효과, 사표방지심리, 제3자 효과가 작용하면서
실제로는 상위 후보로 투표량이 쏠리는 경향이 있고,
하위 후보는 위축되는 경향이 그동안 관찰되어왔다.
네이버는 50대가 그 이하 표본에 비해 절반정도,
60대가 50대에 비해 절반정도로 검색량은 적지만,
충분히 큰 표본이기 때문에 전 연령대에서 성비와 더불어 이용자 표본이 대표성을 가진다.
2022년 2월 11일 데이터를 표본으로 함.
관심도 (참여도*)
1위 윤석열 35% (45.5%~24.5%)
2위 이재명 26% (33.8%~18.2%)
3위 안철수 23% (29.9%~16.1%)
4위 심상정 16% (20.8%~11.2%)
*이전 1차 토론 승자분석 글에서도 다뤘다시피, 참여도는 관심도의 ±.3 밴드로 추정
잠재적인 득표율로 해석되지만, 여론조사 공표 등으로 인한 양자구도의 진영 밴드왜건효과,
사표방지심리, 제3자 효과 등이 작용하면서 실제 득표율에서는 쏠림현상을 보인다.
30대 이하 사용자 표본이 대다수, 이용자 성비는 남여 7:3정도인 구글의 검색량 점유율
2022년 2월 11일 오후 7:00부터 2022년 2월 12일 오전 7:00까지
즉 토론 시간을 포함해 토론 방송 전 1시간부터 다음날 오전 7시까지의 표본.
30대 이하 관심도 (참여도)
1위 윤석열 40% (52%~28%)
2위 이재명 35% (45.5%~24.5%)
3위 안철수 13% (16.9%~9.1%)
4위 심상정 12% (15.6%~8.4%)
*이전 1차 토론 승자분석 글에서도 다뤘다시피, 참여도는 관심도의 ±.3 밴드로 추정
잠재적인 득표율로 해석되지만, 여론조사 공표 등으로 인한 양자구도의 진영 밴드왜건효과,
사표방지심리, 제3자 효과 등이 작용하면서 실제 득표율에서는 쏠림현상을 보인다.
40대 이상 사용자 표본이 대다수, 이용자 성비는 남여 6:4정도인 카카오의 검색량 점유율
2022년 2월 11일 데이터를 표본으로 함.
40대 이상 관심도 (참여도)
1위 윤석열 31% (40.3%~21.7%)
2위 이재명 25% (32.5%~17.5%)
3위 안철수 24% (31.2%~16.8%)
4위 심상정 20% (26%~14%)
*이전 1차 토론 승자분석 글에서도 다뤘다시피, 참여도는 관심도의 ±.3 밴드로 추정
잠재적인 득표율로 해석되지만, 여론조사 공표 등으로 인한 양자구도의 진영 밴드왜건효과,
사표방지심리, 제3자 효과 등이 작용하면서 실제 득표율에서는 쏠림현상을 보인다.
'재밌는 한국 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韓探】 20대 대선 승패 MCMC 시뮬레이션 - 尹 65.2% 李 34.8% (4자구도 - 2월 2주차) (0) | 2022.02.12 |
---|---|
【韓探】 데이터로 보는 20대 대선후보 2차 다자토론 승자는? (Social Sentiment) (0) | 2022.02.12 |
【韓探】한국 입법권력 독과점상태 계량분석(Multivariate HHI analysis of political markets on a global basis) (0) | 2022.02.06 |
【韓探】 데이터로 보는 20대 대선후보 1차 다자토론 승자는? (Naver & Kakao) (0) | 2022.02.04 |
【韓探】 데이터로 보는 20대 대선후보 다자토론 승자는? 향후 포지셔닝 전략은? (Social Sentiment) (0) | 2022.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