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244)
Archive.

당선자는 최재형(서울 종로구) 조은희(서울 서초갑) 김학용(경기도 안성시) 임병헌(대구 중남구) 정우택(충북 청주시 상당구) 국민의힘 계열(소속 및 무소속)의 싹쓸이로 예측된다. 아래는 승률예측

블로그 발행자 표본 특성상 20대~50대 위주(약 90%)의 여성 6 : 남성 4 정도의 성비를 가진다. 민주당 이재명 후보에게 유리한 유권자 연령, 성별 층임에도 불구하고, 안철수 후보의 기존 관심도가 이재명 후보보다 윤석열 후보에게 약 1.2배 유리하게 분산되어 이전되는 형국이다. 바로 위에 언급했듯이, 블로그 발행자 표본 특성을 고려할 때, 이재명 후보에게 유리한 표본에서 尹 47.65%, 李 48.03%로 초박빙이므로 나머지 연령층, 성별에서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이재명 후보보다 유리한 구도에서, 尹후보의 당선이 약우세임을 알 수 있다.

승자가 누구냐? 전문가들의 뇌피셜이 넘쳐난다. 정치인들의 진영에의 아전인수격 레토릭과 선동이 넘친다. 받아쓰기식 기사가 재생산되고 유권자 전체 인식의 지형을 왜곡하려는 시도가 계속된다. 이런 인포데믹이 퍼지기 이전에 그 날의 '유권자의 목소리'를 담은 데이터를 분석할 필요가 있는 이유다. 관심도가 호감도에 보통 비례하지만, 꼭 그렇지는 않다. 토론 시간대와 그 이후로 관심도를 분석한 한 후보군에 대해서 긍정적인 관심도, 부정적인 관심도의 비중도 따질 필요가 있는데, 소셜미디어에 발행된 글들의 언어를 분석해보면 그 관심도가 얼마나 호감도를 동반하는지 알 수 있다. 25일~26일 여론의 흐름은? 관심도* : 이재명(39.7%) 윤석열(35.3%) 안철수(14.9%) 심상정(10.2%) 순. 호감도** : 이..

승자가 누구냐? 전문가들의 뇌피셜이 넘쳐난다. 정치인들의 진영에의 아전인수격 레토릭과 선동이 넘친다. 받아쓰기식 기사가 재생산되고 유권자 전체 인식의 지형을 왜곡하려는 시도가 계속된다. 이런 인포데믹이 퍼지기 이전에 그 날의 '유권자의 목소리'를 담은 데이터를 분석할 필요가 있는 이유다. 관심도가 호감도에 보통 비례하지만, 꼭 그렇지는 않다. 토론 시간대와 그 이후로 관심도를 분석한 한 후보군에 대해서 긍정적인 관심도, 부정적인 관심도의 비중도 따질 필요가 있는데, 소셜미디어에 발행된 글들의 언어를 분석해보면 그 관심도가 얼마나 호감도를 동반하는지 알 수 있다. 21일~22일 여론의 흐름은? 관심도* : 이재명(37.7%) 윤석열(36.3%) 안철수(17.3%) 심상정(8.7%) 순. 호감도** : 이재..

한국갤럽 尹 李 安 沈 95% 상한 35% 35% 10% 3% 95% 하한 40% 41% 14% 5% 조사 표준오차 1.40% 1.50% 1.10% 0.70% 시뮬레이션 평균 37.50% 38.00% 12.00% 4.00% 시뮬레이션 표준오차 1.44% 1.73% 1.16% 0.58% 오차 범위 내이기 때문에 여론조사가 받아들일 가치가 없는 것은 아니다. 오차 범위내에서도 우열을 가릴 수 있는 마코프체인 몬테카를로(MCMC) 시뮬레이션으로 그 승률을 파악할 수 있다. 2022년 2월 22일 ~ 24일, 3일 간 진행된 갤럽 조사. 오차범위내 접전인 상황에서 상한-하한 구간 안에서 랜덤워크 샘플링으로 50만회 시뮬레이션 결과. 李 58.4%, 尹 41.6%로 李 후보가 승리할 가능성이 높았다. 현 시점(2..

2022. 2. 24. Survey completed. 당신의 상위 5개 테마 1. 전략(Strategic) 테마 2. 승부(Competition) 테마 3. 행동(Activator) 테마 4. 발상(Ideation) 테마 5. 개별화(Individualization) 테마 자신의 강점심층이해 내용을 읽었을 때 어떤 구절, 단어나 문장이 눈에 띄는지 체크하도록 권유하고 있다. 그리고 강점 심층이해 내용의 모든 재능 중에서 다른 사람들이 나에게서 가장 관심있게 봐줬으면 하는 재능(내게는 1번 테마)이 무엇인지도 질문한다. 1. 전략(Strategic) 테마 공통 테마 설명 전략(Strategic) 테마가 특히 강한 사람들은 일을 진행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 대안을 만듭니다. 이들은 어떠한 상황에 면하더라도..

즐겁게 감탄하면서 한편으로는 감동하고 응원하면서 보던 프로그램인데 벌써 파이널을 앞두고 있다. 참가자들의 실력면에서나 심사자의 성숙도면에서나 시즌 1만큼 어쩌면 그 이상 퀄리티가 좋은 것같다. 응원하던 가수에게 투표하고 난 뒤, 막상 투표 페이지가 아닌 곳(네이버 Now)에서 '댓글 투표' 현장을 발견. 표본도 1000명이 넘겠다, 문득 결과를 예측하고 싶어졌다. 예측의 전제 1. 온라인 사전투표율은 실시간 투표를 따른다. 시즌 1의 경우 온라인 사전투표율 순위는 거의 실시간 문자투표 순위를 따랐다. 이번 시즌2에서도 마찬가지일 것으로 예측된다. 두 비율 표준편차가 2.7%밖에 되지 않음에도 사전투표와 실시간투표에서 2, 3위가 뒤바뀌는 현상이 있었는데 두 가수의 득표 격차가 1.7%p밖에 되지 않았기 ..

블로그 포스트 표본을 대상으로 했고, '대통령' 연관어의 경우 지난 한달 58,531건, 일주일 14,991건, 3일 1,874건. '여론' 연관어의 경우 지난 한달 25,958건, 일주일 7,165건, 3일 691건이 표본이다. 블로그 이용자 표본 특성상 60대 이하의 이용자를 대표하지만, 70대 이상의 이용자를 대표하지 못한다. 왼쪽은 지난 1개월, 일주일, 사흘 간 '대통령' 키워드의 연관어 중 상위 30개 이내 인물 키워드별 점유율 변화추이 오른쪽은 지난 1개월, 일주일, 사흘 간 '여론' 키워드의 연관어 중 상위 30개 이내 인물 키워드별 점유율 변화추이를 의미한다. 대통령이란 단어를 떠올렸을 때 그 다음 연상되는 단어가 이재명 > 윤석열 > 문재인 순이고, 여론이란 단어를 떠올렸을 때 그 다음..

2월 12일~13일, 14일 오후 7:30까지의 데이터 블로그 포스팅 표본 6,369 건을 대상으로 분석. *네이버, 다음 등 뉴스댓글은 18대 대선과 19대 대선 때 조직적으로 조작됐던 전력과 의혹이 있기 때문에 표본으로 삼지 않음. 관심도* : 윤석열(36.7%) 이재명(35.1%) 안철수(19.0%) 심상정(9.2%) 순. 호감도** : 이재명(37.5%) 윤석열(34.6%) 안철수(21.7%) 심상정(6.2%) 순. 관심도와 호감도 폭으로 추정한 네이버 블로그 이용자 투표의도(참여도)는 아래와 같다. 이재명 37.5%~35.1% 윤석열 36.7%~34.6% 안철수 19.0%~21.7% 심상정 9.2%~6.2% 3일 전과 비교해서 관심도-호감도 밴드에서 오차범위 내 李 후보가 尹 후보를 역전한 모습..

한국갤럽 尹 李 安 沈 95% 상한 34% 33% 11% 2% 95% 하한 40% 39% 15% 5% 조사 표준오차 1.5% 1.5% 1.1% 0.7% 시뮬레이션 평균 (조사결과와 일치) 37.00% 36.00% 13.00% 3.50% 시뮬레이션 표준오차 1.73% 1.73% 1.15% 0.87% 오차 범위 내이기 때문에 여론조사가 받아들일 가치가 없는 것은 아니다. 오차 범위내에서도 우열을 가릴 수 있는 마코프체인 몬테카를로(MCMC) 시뮬레이션으로 그 승률을 파악할 수 있다. 2022년 2월 8일 ~ 11일, 3일 간 진행된 갤럽 조사. 오차범위내 접전인 상황에서 상한-하한 구간 안에서 랜덤워크 샘플링으로 10만회 시뮬레이션 결과. 尹 65.2%, 李 34.8%로 尹 후보가 승리할 가능성이 높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