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韓探】 데이터로 보는 20대 대선후보 1차 다자토론 승자는? (Google Trend) 본문
국내외 축적된 연구에 따르면 후보에 대한 ‘관심도’-‘호감도’-‘참여도’는 서로 양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
키워드 검색량은 관심도의 정량적 대표 지표 중 하나로 참여도(투표)와도 대략 70%(rule of thumb) 내외의 양의 상관성을 갖는다.
2월 3일 8시~10시(1차 토론) 전후 데이터가 대표성을 갖도록 구글 검색량이 포집된 24시간 타임프레임에서 확인.
(22. 2. 3. 오전 12:21~22. 2. 4. 오전 12:21)
1. Google Trends
구글 검색량 표본의 특징
오픈서베이 조사(2021.2.19)에 따르면,
이용층의 성별 면에서 남성이 여성의 4배 정도 되고, 연령 면에서 40대 이하가 절대다수를 차지한다.
관심도 (참여도)
1위 이재명 44% (57.2%~30.8%)
2위 윤석열 32% (41.6%~22.4%)
공동 3위 안철수, 심상정 12% (15.6%~8.4%)
(*투표참여도 신뢰구간 ±.3로 계산)
자신의 지역별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많은 지역(비교우위, 상위 1/3)
이재명 :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대전, 충남, 광주
윤석열 : 강원, 충북, 경북, 울산
안철수 : 전남, 제주, 경남
심상정 : 전남, 경북
자신의 지역별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지역(비교열위, 하위 1/3)
이재명 : 경북, 경남, 충북, 강원, 전남
윤석열 : 광주, 전남, 제주, 경기
안철수 : 서울, 충남, 대전, 울산
심상정 :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부산, 대구, 울산, 충남
2. Naver Datalab
네이버는 다음날이 되고 나서 8시간~10시간이 지나야 데이터랩에 보고된다.
네이버 데이터랩의 결과물이 나오면 네이버 데이터를 근거해서 분석해볼 예정.
'재밌는 한국 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韓探】 데이터로 보는 20대 대선후보 2차 다자토론 승자는? (네이버/구글/카카오 데이터) (0) | 2022.02.12 |
---|---|
【韓探】한국 입법권력 독과점상태 계량분석(Multivariate HHI analysis of political markets on a global basis) (0) | 2022.02.06 |
【韓探】 데이터로 보는 20대 대선후보 1차 다자토론 승자는? (Naver & Kakao) (0) | 2022.02.04 |
【韓探】 데이터로 보는 20대 대선후보 다자토론 승자는? 향후 포지셔닝 전략은? (Social Sentiment) (0) | 2022.02.04 |
【한국탐구】 가족·친척·친구·동료가 커밍아웃했을 때의 현명한 K-대처법 (0) | 2021.09.02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