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244)
Archive.

31,748개의 YouTube 동영상 분석을 분석하여 조회수를 가장 잘 예측하는 요소를 찾아냈다. 이 차트에 따르면 발견한 가장 중요한 5가지 시사점은 다음과 같음. 우선, 가장 중요한 3가지 예측 변수는 : 1. AVD*CTR = AVD(평균 시청 시간)에 CTR(노출 클릭률)을 곱한 값. 샤플리 값이 1에 가깝다. 예측타당도 깡패. 2. age_in_days = 동영상이 게시된 후 경과한 일수입니다. "신선도"라고도 함. 샤플리 값이 0.6 정도. 3. CTR. 이거 하나인데 샤플리 값이 0.6정도다. 1. 동영상이 게시된 지 한참이 지난 후에도 AVD에 CTR을 곱한 값이 조회수를 가장 잘 예측하는 지표다. AVD*CTR이 높을수록 조회수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 빨갈수록 퍼포먼스가 좋다는 의미...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GPT로 묻고 묻고 묻고... 한 30~40번을 묻다보니 짧은 책 한권이 나왔다. 분류(분류를 다시 분류시키고 다시 분류시킴), 분석, 적용 단계, 적용 사례(성공적이었던) 것들을 묻는 4박자로 꽤 깊이 있는 구조도를 얻을 수 있었다. 뾰족한 컨텐츠로만 된 블록을 가진 성을 쌓는 데에 큰 힌트가 된 것 같다. 0. 디지털 콘텐츠 제작 노하우 스토리텔링: 비디오, 소셜 미디어 게시물 또는 블로그 기사의 형태를 막론하고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하려면 매력적인 스토리를 만드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캐릭터 개발, 갈등, 해결과 같은 스토리텔링의 요소를 이해하면 매력적인 콘텐츠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시각 디자인: 효과적인 시각 디자인은 청중의 관심을 끌고 콘텐츠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

https://www.youtube.com/watch?v=TjVP4cICwGE https://www.youtube.com/watch?v=rP9TU8XiPoc - 잘 안다는 창업자보다 잘 모른다는 창업자에게 여백을 채워주고 싶다고 생각하는 리더들이 오더라. 콘텐츠 플랫폼에서 결국 중요한 건 콘텐츠더라. - 유튜브 같은 아마추어 플랫폼도 있지만, 넷플릭스처럼 퀄리티 높은 콘텐츠를 직접 제작하는 제작 스튜디오와 플랫폼의 결합체가 있다. 넷플릭스 같은 쪽으로 가야하는 것 아니냐는 고민을 시작했다. - 미국 ABC TV드라마 Head 7년, EP 8년을 했던 Sue Masters ABC 부사장으로부터 들었던 이야기가 있는데, "사실 연재형 콘텐츠 중에서 가장 상업적으로 성공한 포맷은 TV드라마다." 일일드라마PD..
시나리오 작가가 자신의 영화 스토리 안에서 만들 수 있는 캐릭터의 유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어떤 페르소나를 영상의 화자로 놓느냐가 Audience-Endorser Congruence의 핵심적인 선택이 된다. 아키타입과 스톡 캐릭터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각본 공모전, 할리우드 개발 임원, 프로듀서, 배우들의 긍정적인 관심을 받을 만한 시나리오를 쓰고 싶다면 원형과 스톡 캐릭터의 관습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많은 작가가 원형과 스톡 캐릭터의 차이점을 모르고 있으며, 사실 알고 있는 작가조차도 스토리에 사용할 캐릭터를 개발할 때 두 가지 사이에서 매우 미세한 경계를 넘나듭니다. 다음은 주연, 조연, 단역 등 캐릭터를 개발할 때 모든 작가가 알아야 할 세 가지 용어의 정의입니다. 원형(n): 특정 사..
시나리오 작가가 시나리오에 사용할 수 있는 영화 속 주요 장면 유형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영화 장면은 일반적으로 시간, 장소 및 캐릭터와 관련된 단일 위치 내의 액션 또는 순간으로 정의됩니다. 일부 장면은 캐릭터가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할 때 여러 위치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여러 장면을 모으면 여러 위치에서 여러 액션과 순간으로 구성된 시퀀스를 볼 수 있습니다. 시나리오 작가는 시나리오 내에서 스토리를 전달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수많은 장면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영화에서 볼 수 있는 주요 장면 유형을 간단한 설명과 함께 정리하면 재미있고 유익한 정보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1. 티저 - 앞으로 전개될 스토리와 어떤 식으로든 연결될 호기심과 갈등을 유발하여 처..

P2. 제작 경험을 통해 알게된 성공 조건들 8가지 인사이트 1. TOPIC 주제 - 많이 봐야 특별한지 알 수 있다. 사람들의 생각을 안다는 게 굉장히 중요하다. 부정적인 이미지나 내용을 미리 걸러낼 수 있다면 더 좋다. - 아이템 발굴 방법을 많이 물어본다. 큰 도움이 됐다는 후문도. 가장 큰 도움을 받는 것은 뉴스 기사다. 마음먹고 챙겨보기 쉽지 않은 사람들이 많을 것. 볼거리는 많고 살기는 바쁘다. - 아침 한 번, 저녁 한 번. 지금 이슈거리이거나, 될 가능성이 높은 뉴스를 확인한다. 모든 분야를 다 챙겨본다. 헤드라인 위주로. 그 중 눈길이 가면 더 보는 식으로. (RSS피드로 댓글X건 이상, 조회수 Y만건 이상의 뉴스를 걸러서 받아볼 수 있다. 어느정도 버즈가 검증된.) - 바로 반응파악 가..

P1. 기회를 만드는 전략 - 처음엔 정기적인 콘텐츠 발행 시스템, 채널 브랜딩에 대한 인식 자체가 없었다. - 벤치마킹할 디지털 미디어 자료를 조사하기 바빴다. e.g. The Skimm(Gen M 여성인 친구와 수다떨듯 편안한 톤앤매너로 복잡한 뉴스를), 스브스뉴스(20대의 언어로 사회 이슈를) - 정보 이상의 감정까지 공유하는 경험을 하기도. e.g. 종현 사망 소식 = { 이동진의 클로징 멘트 + 종현의 마지막 방송 멘트 + } - 타겟층의 언어와 감성인지(그 문법인지) 확인작업을 꼭 했다. cf. 제목 확인 등. 첫 시작 - 자의적으로 아이템을 선택하는 대신 화제가 된 콘텐츠를 따라가기로 했다. (커뮤니티, 포털, SNS를 검색해서 타겟층인 20대가 어떤 주제에 주목하는지 알아봤다.) - 아이템..
서비스형 콘텐츠(CaaS) 또는 서비스형 관리 콘텐츠(MCaaS)는 서비스 제공업체가 구독 라이선스가 부여된 웹 서비스를 통해 서비스 소비자에게 온디맨드 방식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지향 모델입니다. 콘텐츠는 서비스 제공업체가 클라우드에서 중앙 집중식으로 호스팅하고 애플리케이션이나 시스템에 전달된 콘텐츠를 필요로 하는 여러 소비자에게 제공하므로 소비자가 필요할 때 언제든지 콘텐츠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로서의 콘텐츠는 다른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원시 콘텐츠(즉, HTML과 같은 특정 인간 호환 표현이 필요 없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서비스로서의 콘텐츠는 사람이 직접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플랫폼이 특정 요구에 따라 콘텐츠를 소비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중소기업의 문제와 성장 패턴을 기업가에게 유용한 방식으로 체계적으로 분류하는 것은 언뜻 보기에는 절망적인 작업처럼 보입니다. 소규모 비즈니스는 규모와 성장 능력이 매우 다양합니다. 소기업은 행동의 독립성, 다양한 조직 구조, 다양한 경영 스타일이 특징입니다.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비슷한 발전 단계에서 발생하는 공통적인 문제를 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사점을 하나의 프레임워크로 정리하면 최저임금 직원 2~3명이 근무하는 동네 세탁소부터 연간 40%의 성장률을 기록하는 연매출 2천만 달러 규모의 컴퓨터 소프트웨어 회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비즈니스의 본질, 특성 및 문제점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습니다. 소규모 비즈니스의 소유주와 관리자에게 이러한 이해는 기존 컴퓨터 시스템을 업그..